[2015.12.18] 무리한 해양플랜트 투자 결국 조선사 직격탄 > Press Releases

본문 바로가기

Press Releases

[2015.12.18] 무리한 해양플랜트 투자 결국 조선사 직격탄

페이지 정보

Author Admin 작성일15-12-18 08:47 Hit13,317 Count Comments0 Count

본문

각종 지표상 경남 경제는 분명히 위기입니다. 특히 지역총생산(GRDP)의 43%(2013년 기준)를 차지하는 제조업 위기가 심화하고 있습니다. <경남도민일보>는 '대규모 적자, 해양플랜트 미래 전망 있나'는 주제로 3회에 걸쳐 기획기사를 싣습니다. 경남 경제의 장밋빛 미래처럼 거론되던 해양플랜트 산업이 왜 지금 애물단지 취급을 받는지 자세히 진단해 봅니다.







2015년 말 한국 조선산업이 신음하고 있다. 중형 조선소의 유동성 위기에 이어 조선 빅 3로 불리는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이 지난해와 올해 잇따라 대규모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빅 3의 대규모 적자는 대부분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발생했다. 지난해와 올해 3분기까지 조선 빅 3는 6조 3000억 원이 넘는 적자를 냈다. 거제 대우조선해양은 4조 2000억 원, 삼성중공업은 1조 원이 넘어 적자 규모도 크다. 장밋빛 미래가 잿빛으로 바뀌었다.

왜 이런 대규모 적자가 발생했을까?

빅 3는 해양플랜트 산업 특성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덜 준비된 상태로 이 사업에 뛰어들었다. 기본설계부터 시운전까지 일괄 계약을 하는 등 계약 방식을 바꾸고, 빅 3가 제 살 깎기 수주 경쟁까지 벌이면서 적자가 더 커졌다.

해양플랜트는 대륙붕에서부터 수심 1500m 이상인 심해까지 해저의 원유와 가스 시추·채취 시설 일체를 말한다. 해양플랜트 생산으로 적자가 나지 않으려면 유가가 배럴당 최저 60달러 전후는 돼야 하는데, 현재 유가는 배럴당 30달러선까지 곤두박질치며 수주량이 급감했다. 실제 올해 해양플랜트 수주는 삼성중공업의 FSRU(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부유식 가스저장재기화 설비) 단 한 척에 불과하다.

2008년 미국발 국제 금융위기가 실제 상선 수주량 급감으로 이어진 것은 2010년 말이다. 극도의 조선업 불황과 달리 대규모로 확대한 건조시설을 비워놓기 어려웠던 조선 빅3는 기존 10% 수준이던 해양플랜트 수주를 점차 늘려 2013, 2014년에 각 사당 전체 매출의 60∼70%를 해양플랜트로 채웠다.

하지만 지난해 말부터 저유가 장기화로 선주사인 국제 메이저 오일사, 북유럽 중심의 드릴십 운영사가 채산성 악화로 신규 발주를 거의 하지 않고 있다. 여기에 잦은 기본 설계 변경과 공사 지연 등으로 사업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해양플랜트는 '실적 까먹는 하마'로 전락했다.

무엇보다 해양플랜트 시장은 유가와 직결돼 있다. 환율과 함께 세계 경제를 좌우하는 유가를 둘러싼 치열한 국제 정치·외교전과 궤를 함께한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미국에서 생산되는 비전통오일인 셰일오일·가스 생산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중동 산유국은 원유 지배력 강화를 위해 감산을 통한 적정가격 유지 정책 대신 셰일·오일가스 생산업체 죽이기라는 강경책을 내세웠다. 그게 지난해 11월 27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OPEC(석유수출국기구) 정례회의에서 감산을 하지 않겠다는 결정이었다. 유가를 둘러싼 미국 비전통오일 생산업체와 중동 산유국의 '저유가 치킨게임'의 시작이다. 여기에 올해 들어 강경파인 압둘 라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부왕세자인 모하메드 빈 살만 국방장관(국영석유회사 아람코 회장)이 정권 실세로 떠오르면서 결국 올 12월 초 OPEC 정례회의에서도 감산은 하지 않겠다고 결정했다.

저유가 지속으로 자국 셰일오일·가스 생산업체가 도산할 수 있는 상황에서 미국은 왜 '적절한 침묵'으로 일관할까? 이 물음부터 훨씬 복잡한 정치·외교 시나리오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저유가가 베네수엘라를 중심으로 한 중남미 산유국의 반미 성향 좌파 정권 붕괴에 일조하고, 국제테러조직인 IS(이슬람 국가)의 원유 뒷거래를 막을 수 있으며, 골치 아픈 이웃 '러시아'(세계 최대 천연가스 산유국)에도 위협이 될 것이라는 미국의 외교적 계산이 그 바탕에 있다고 분석한다.

국내 대표적인 해양플랜트 전문가인 백점기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부산대 선박해양플랜트기술연구원장)는 "해양플랜트는 가장 기저에 있는 유가 전쟁을 모르고 뛰어들면 안 된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기존 경제대국, 브라질·러시아 등 비OPEC 자원 대국, 사우디아라비아를 중심으로 한 중동 산유국, 신생 원유 대국인 베네수엘라, 초국적 메이저 오일사를 보유한 영국·프랑스 등 서유럽 국가, 시추 채취 기술과 기자재 기술이 특화된 북유럽 국가들이 유가를 둘러싸고 치열한 정치·외교전을 벌인다. 기존 국내 다른 수출산업과 달리 해양플랜트는 치열한 경제전쟁의 정점에 있는 산업"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조선 경기 악화로 대형 건조시설이 놀게 되자 조선 3사가 해양플랜트를 본격적으로 수주하며 첫발을 뗐다. 하지만 기본 설계라는 핵심 기술 없이, 유가 흐름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기자재와 부품 국산화율은 극히 낮은 상태에서, 메이저 오일사들 전략을 제대로 학습하지 않은 채 뛰어들어 지금 혹독한 수업료를 내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백 교수 말을 빌리면 갓 걸음마를 뗀 국내 해양플랜트 산업. 이 산업 특성상 남은 선택은 과감하게 버릴 것인지, 공격적인 투자로 핵심 기술을 습득해 산업적 주도권을 획득할 것인지 단 두 가지다.

Comment List

There's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