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26] 글로벌 해운연합 개편 촉각...문제는 법정관리 > Press Releases

본문 바로가기

Press Releases

[2016.04.26] 글로벌 해운연합 개편 촉각...문제는 법정관리

페이지 정보

Author Admin 작성일16-04-26 19:52 Hit14,435 Count Comments0 Count

본문

“이런 상황이 하루빨리 끝났으면 좋겠어요.”

중소 해운업체 관계자는 2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국적선사인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이 구조조정에 들어가면서 해운업 전체가 침체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가 조선과 해운업에 대한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업계의 근심도 깊어지고 있다. 관련 업계는 구조조정 여파가 미치지나 않을까 시장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있는 지역의 경제까지 얼어붙을 조짐이다.

◇‘법정관리’ 독이 든 성배?=한진해운과 현대상선 구조조정을 두고 해운업계가 촉각을 세우는 것은 글로벌 얼라이언스(해운연합체)다.

현재 전 세계 대부분의 화물 물량은 한진과 현대를 포함한 16개 선사가 맡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글로벌 경기 침체로 수출 물량이 줄어들면서 위기를 맞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해운사 간 합종연횡에 나섰다. 프랑스의 CMA-CGM은 싱가포르의 APL을 인수했고 중국의 CSCL과 COSCO는 하나로 합쳤다. 해운사의 숫자가 줄어들면서 선박 공간을 공유하기 위해 해운사들이 구성한 해운연합체에도 변화가 생겼다. 세계 1, 2위인 덴마크의 머스크와 스위스 MSC의 해운연합체 2M을 뺀 나머지 3개 연합체가 내년 협정기한 만료를 앞두고 새로운 연합체 구성에 나섰기 때문이다. 

해운 전문가는 “4개의 연합체에서 3개로 줄어들 것”이라며 “이 같은 상황에서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연합체에 들어가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만약 두 국적선사가 해운연합체에 들어가지 못할 경우 문제는 곳곳에서 발생한다. 우선 광양항과 부산항에선 대규모 물량 이탈 사태에 직면할 수 있다. 지난해 부산항에서 처리한 전체 컨테이너 화물 1945만개 중 환적화물은 1008만개였다. 주로 한진이나 현대가 속한 연합체의 해외 선사들이 부산과 광양을 찾았다.

현대와 한진으로서는 ‘법정관리’를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득할 수밖에 없다.

해운 전문가는 “‘법정관리’는 양날의 칼이다. 해외 해운업체들엔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득해야 하지만 용선료(선박 임대료) 협상에서는 ‘법정관리’가 중요한 협상 카드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현대와 한진이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선주들은 임대료를 한 푼도 받을 수 없고 배만 돌려받아야 한다. 결국 용선료를 낮추는 주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빨리 끝났으면”=조선업계와 해운업계는 그야말로 줄초상 분위기다. 하청업체와 지역 상인들까지 영향을 받지 않은 곳이 없다.

중소형 해운사 관계자는 “한진과 현대상선 덕에 부산항과 광양항이 국제 항구의 역할을 했다”면서 “덕분에 우리도 물량을 많이 받을 수 있었는데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조선업도 마찬가지다. 경남 거제시 옥포에서 만난 크레인 기사 김모(38)씨는 “예전에 월 500만원을 받았으나 지금은 절반도 안 된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등에 조선기자재를 대는 부산·울산·경남지역 업체들은 ‘줄도산’을 우려하고 있다. 대불산단의 기업들은 일감 부족에 대비해 벌써부터 임금을 일당제에서 시간제로 전환하고 있다.

지역 경제도 직격탄을 맞았다. A음식점 주인 강모(54·여)씨는 “종업원 인건비도 안 나와 사장 혼자 장사하거나 문을 닫은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 백점기 교수는 “당장 어렵다고 해서 제작 인력과 설비를 줄이면 선박 발주가 늘어날 때 세계 1위인 조선해양산업의 위상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종·부산·경남·울산·영암=서윤경 윤봉학 이영재 조원일 김영균 기자 bhyoon@kmib.co.kr

Comment List

There's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