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난제 '엔지니어링·기자재'

국내 해양플랜트 산업의 엔지니어링(기본설계·FEED설계, 프로젝트경영컨설팅 등) 기술 획득과 기자재 국산화 확대는 필수지만 정말 만만찮다는 게 업계와 전문가의 공통된 견해다.

메이저 오일사와 미국·유럽의 대형 엔지니어링 회사, 드릴십 전문 대여업체, 드릴링 타워 등 핵심 기자재 업체 간 단단한 카르텔을 깨지 않으면 진입이 어렵다. 기자재도 미국과 유럽업체의 품질 인증과 실적 없이는 시장 진입이 어렵다. 국내 기자재 업체가 품질인증을 받더라도 국내 전문 엔지니어링 업체가 없다 보니 국내산을 잘 써주지 않는다. 진퇴양난이지만 이를 극복하지 않고는 산업 주도권 획득은 불가능하다.

엔지니어링 기술 획득을 두고 업계는 현실적으로 접근했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기본 설계, FEED 설계 검증 능력 향상에 우선하고 있다. 계약 문제 상당수가 여기에서 나온다. 미국 휴스턴과 말레이시아에 자체 엔지니어링 회사를 두고 있지만 이 정도로는 핵심 기술 획득이 어렵다"고 토로했다.

김영훈 경남대 조선해양IT공학과 교수는 "국외 전문 엔지니어링 법인 인수 등을 고려해볼 수 있지만 기술 유출 우려 등으로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국외 엔지니어링 업체와의 M&A나 장기 전략적 제휴 체결이 현실적 방안"이라고 제안했다.

종합 엔지니어링 업체 설립과 분야별 특화 엔지니어링 업체 투 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백점기 교수는 "해양플랜트 기본설계 등 엔지니어링 분야에 2만 명의 인재가 필요한데 당장은 어렵다. 대형 조선 3사가 공동 출자해 국내에 본사를 둔 종합 엔지니어링사 설립을 고려할 때이다. 또한, 안전 설계 등 특화된 중소 엔지니어링 업체를 키워 틈새를 메울 필요도 있다"고 제안했다.

더불어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가 국외 유전 개발과 생산을 시행하고 국내 조선 3사가 여기에 참여하는 정부 차원의 대규모 자원 개발 프로젝트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기자재 업체 분발도 촉구했다. 배정철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경남분원(거제) 분원장은 "API(American Petroleum Institute), ASME(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등 해양플랜트 품질인증 체계를 모르고, 품질인증서와 실적 없이 메이저 오일사 협력업체 등록이 안 된다. 대형 조선소 단순 납품 수준으로 진입할 수 없어 관련 교육부터 해야 한다. 또한, 기존 연구개발 참여 업체는 어렵더라도 최소한 R&D 조직만큼은 유지해 해양플랜트 기자재 생태계 유지가 필요한 시기"라고 당부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