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감축은 먼미래의 막연한 이슈라고 생각했지 이제는 현실이 되고있다."
26일 한 대형 조선업체 관계자는 국제해사기구(IMO)가 다음달 의결을 앞둔 탄소요금제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IMO는 다음달 14일 열리는 해양환경보호위원회 임시회의에서 글로벌 탄소요금제를 확정할 예정이다. 법적 구속력을 갖춘 사상 첫 선박 탄소거래제다. IMO는 전세계 해운사들이 보유한 5000t 이상 선박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초과할 경우 배출량에 비례해 벌칙금을 부과한다. 탄소 1t당 최대 380달러의 범칙금이 메겨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준치 이하의 탄소를 배출하는 경우 잉여분을 다른 해운사에 판매할 수도 있다.
제도는 2028년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감축 목표치는 현재기준보다 2030년 -30%, 2040년 -70~80%, 2050년 -100%를 줄여야한다. IMO는 이 로드맵에 맞춰 매년 기준치를 설정할 예정이다.
해운사들은 막대한 벌금을 피하기위해서는 당장 내년부터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설비 혹은 선박을 도입해야 한다. 해운사는 단기적으로 디젤과 함께 액화천연가스(LNG)나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이중연료 설비를 도입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막대한 설비 교체 비용 및 제한적인 탄소감축량을 고려할때 LNG 추진선, 암모니아 추진선 등 친환경 선박에 대한 신규 수요가 급증할 것이란 분석이다. 조선사 관계자는 "기존 선박의 설비를 이중연료 등으로 바꾸는건 엔진 시스템을 통째로 교체해야하는 작업이라 비용이 만만치 않다"며 "중장기적으로 보고 친환경 선박을 신규로 주문하는 해운사들이 많아질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사들은 선박의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항로 시스템 최적화 소프트웨어, 전력 설비 개선 프로그램 등에 대한 투자도 늘릴 계획이다. 연료 소모 자체를 효율화하면 같은 연료 대비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차세대 선박인 수소 추진 선박, 배터리 기반 선박 등에 대한 연구개발(R&D)도 가속화될 것이란 관측이다. 조선사들이 오랜기간 연구개발해온 분야다. 2030년께 수소나 배터리로 운용되는 선박들의 본격적인 상용화가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소형모듈원전(SMR)이 활용될 것이란 관측도 있다. 대형 선박위에 SMR을 장착하는 경우 무탄소 초고효율 선박을 운용할 수 있다.
출처: [한국경제] 성상훈 기자
- 다음글 184 [2025. 9. 23.] [전문가 칼럼] SMR 선박, 한국 조선산업의 미래 좌우한다 25.09.29